목록ComputerScience (6)
코가손의 블로그

ALU(Arithmetic Logic Unit) : CPU에서 연산을 담당한다. 덧셈 뺄셈과 같은 산술연산과 AND, OR같은 논리연산을 수행한다. CU(Control Unit) : 컴파일 과정으로 인해 생성된 실행 파일(.exe)에 CPU에게 일을 시키는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. 이 명령어는 이진수로 되어 있고 ALU가 연산할 수 있도록 해석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. Register : 명령어가 CPU에 들어온 순간, 덧셈 명령어는 CU에서 피연산자는 ALU에서 처리하는 중이라 생각해보자. CPU내부에서 데이터를 저장해두고 CPU가 필요할 때 직접 쓰는 기억공간이 있다면 효율적으로 처리가 가능할 것이다. CPU에서 멀면 멀수록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. CPU내부의 매우 빠른 접근이 가능한 기억공간을 레..
ComputerScience
2021. 11. 9. 16:18

컴퓨터의 메모리에 여러 개의 연속된 대상을 배열하는 방법, 바이트를 배열하는 방법으로 바이트순서(Byte order)라 한다. 리틀 엔디안 vs 빅 엔디안 빅 엔디안 방식은 사람이 숫자를 쓰는 방법과 같이, 큰 단위 바이트가 앞에 오는 방법이고 리틀 엔디안은 작은 단위의 바이트가 앞에 오는 방식이다. 빅 엔디안 방식은 사람의 디버깅에 유리하고 리틀엔디안은 수학적 연산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. 앞으로 볼 일이 거의 없겠지만 네트워크 환경을 다루어야 할 때 바이트오더를 잘 확인하고 통일시켜 주어야 한다고 한다.
ComputerScience
2021. 11. 9. 15:54